40.29M
Category: businessbusiness

2023년 사업추진계획

1.

D.N.A 군집드론 플랫폼 기반
K-스마트팜센터 농업 드론 운영플랫폼 구축
기업명 : 주식회사 삼성드론
대표 : 민 병 안
㈜삼성드론 민병안대표
2023.04

2.

목 차
1. 기술성
1-1. 기술개발 방향
1-2. 기술개발 접근 방법
1-3. 기술개발 결과의 기술적 활용
2. 사업성
2-1. 사업화 계획
2-2. 기술개발 결과의 사업적 활용
2-3. 기술개발 결과의 기술적 활용
3. 선행연구의 우수성
< 다중 영상 송출 시스템 >
< 3D Drone Path Editor >
국산
내재화
< Cloud Data >
4. 기술개발 보유 역량
4-1. 연구개발역량
< Drone Simulation >
< Swarm Control >
2

3.

1. 회사 성장 ( 현재 100억 가치 )
상장기업 인수
K-스마트팜센터 14개국 운영
사료용옥수수+드론 활용 130만 ha 총괄 운영
우리나라 농진청 2024년 예산 투입
국토부,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실증 PM(해외실증)
강원도, 경제진흥원 드론 우수기업 실증
예비창업 (최우수) - 군집드론플랫폼
2026
2024
2022
2020
10,000억
드론 플랫폼 DroneTalk
K-스마트팜센터(14개국)
1,000ha 농장
1,000억
2025
- UAM 통합관제플랫폼 솔루션 보급
- 드론택시 자체 개발 ( DID Blockchain 기술 )
- K-농업 + 드론 총괄 사업 추진 ( ODA )
15억
2023
- 농진청 KOPIA 구매동의서 체결
- 키르기즈스탄 정부 구매동의서 체결
- 우즈베키스탄 농업부 사업 협력
1.2억
2021
- 특허정보원 – 비대면 스타트업 ( 우수졸업)
-
2019
국토부, 고양시 드론 실증 기획 총괄
50억
3.5억
0.6억
2018
세계 최초로 LTE 군집드론 플랫폼 개발 총괄
LTE 드론 열영상 송출 구현 ( KT )
2016
2015
카자흐스탄 항공우주국 MOU
응용 SW 개발 20년
3

4.

2. 성장 곡선
2-1. 매출 및 고용인력
(단위, 억원)
년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매출액
0.2
1.6
3.9
20
200
1,000
인원
5
4
3
10
50
100
R&D
0.6
1.5
4
15
50
200
투자
0
0
0
5
20
100
성장 곡선
1600
1,000억
1400
1200
1000
800
200억
600
20억
400
4

200
0
20년
21년
22년
매출액
23년
인원
R&D
24년
25년
투자
4

5.

2023년 사업추진계획
A. 기술성

6.

1. 기술개발 방향
1-1. 기술개발 목표 및 구체적 내용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플랫폼 구축 개발
1
3
A
B
4
개발
K-스마트팜
센터
해외
실증
2
5
6

7.

1. 기술개발 방향
1-2. 기술개발 내용
-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플랫폼 주요 구성 요소
6
<조류공격>
Relay
Relay
Cloud Data Server
Relay
드론통합관제실
(K-스마트팜센터)
<군집드론시스템>
1
DroneTalk
<드론운영시스템>
영상처리시스템
Data 분석 (기술지원)
<AI 송골매 드론>
5
드론 서비스 요청
드론 서비스 수행
FC+MC
<AI 방제용, 입제살포용 드론>
DID Blockchain
(디지털 신원증명)
농촌지도소(농민)
<디지털농업
분석교육
>
4
<드론 교육 표준화 >
3
<서비스 신청 어플>
2
<디지털 신원증명>
드론 PILOT
DATA 수집용 드론
7

8.

1. 기술개발 방향
1-3. 정부지원 필요성
) 우리나라 정부는 K-농업을 개도국에 전파 하는 걸 목표로 함.
< 드론플랫폼 DroneTalk 서비스 >
< 3차원 군집드론관제시스템 >
8

9.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1. 개발 목표 및 개발 방법
1) (연구시설ㆍ인프라 ) 키르기즈스탄 수도 비슈케크에 1ha 규모 K-스마트팜센터 드론 관제실 활용
2) (현장 실증) 키르기즈스탄 알라부카 1,000ha 면적 중 350ha(여의도 면적) 현장 실증 진행
<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플랫폼 구축을 위한 세부 개발 목표 >
< 드론 관제실>
< 농업드론 활용 시험포>
< 정밀농업 테스트 장소>
< 현장 실증 사전 준비>
9

10.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1) 군집드론관제플랫폼 기술이 포함된 드론운영시스템 UI 구성
< Use Case >
개발 메뉴명
물품관리
드론자격증관리
(디지털 신원증명 연계)
비행승인관리
고도화 내용
- 드론 정비부품 및 농업용 드론 기체 관리 화면 개발
- 드론 비행시간 체크 및 배터리 운영시간 체크 관리 화면 개발
모니터링 관리
Data 관리
< Actor1>
- 드론 교육 접수, 수료 여부, 운행기록 데이터 관리 화면 개발
- 드론 자격증 소유자의 비행로그 기록 관리
3
- (계획) 스마트농지 비행 전 계획 경로 등록 화면 개발
(Drone Talk 서비스 - (승인) 비행 시뮬레이션 검증 후 비행 승인 처리 화면 개발
연계)
1
- (로그) 계획된 비행과 실제 비행로그 기록 등록 화면 개발
2
< Actor2>
- 기 개발된 군집드론관제플랫폼을 고도화 하여 다수드론 비행 실시간
모니터링 고도화
- 드론 Mapping Data 및 현장 생태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 화면 개발
< 기능 고도화 UI 화면>
10

11.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2) 드론 조종자 디지털 신원증명 어플 개발
- (특허2건) DID Blockchain 보안기술 드론 조종자 디지털 신원증명 어플 개발
< 드론 조종 교육>
< 디지털 신원증명>
< Use Case >
11

12.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3) 농업 드론 서비스 신청,서비스 수행등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 개발 ( DroneTalk )
< 드론플랫폼 서비스 DroneTalk 개념도 >
드론
조종자
디지털농업 분석교육
< 드론플랫폼 중개 서비스 Drone Talk >
< Use Case >
수원국
농민
드론 조종자 교육 농기계 첨단장비 교육
12

13.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4) 드론 조종자 교육 표준화 모델 구축
1
2
3
4
Textbook
Translation
Maintenance
Training
Course
open
SW
Education
드론교재 제작
드론 기체 정비 교육
드론 과목 개설
(K-스마트팜센터 건물)
소프트웨어 교육
< 드론조종자 교재 번역 >
< 드론 교육 및 정비 >
< K-스마트팜센터>
< 드론 SW 교육 표준화 >
13

14.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5) 군집드론 SW 기술을 기반으로 한 FC+MC 핵심 부품 기술 적용 드론 기체 개조
14

15.

2. 기술개발 접근 방법
2-2. 상세 목표별 개발 방법
6) 사료용 옥수수 작물 농업 드론 : 기존 평균 12ton/ha
-
농업 드론 활용 18ton/ha 생산량 증대 실험
농진청 KOPIA (키르기스스탄) : 사료용 옥수수 작물 대상 농업드론 활용 생산량 30% 증대 실험
※ 농진청 KOPIA (우즈베키스탄) : 벼 작물 대상 농업드론 활용 효율성 20% 증대 실험 ( 추가 요청 )
구분
선행기술 제품 및 서비스
다수드론 제어 시스템
사료용 옥수수
( 350ha )
기술개발 추진전략
- 5대이상 소형(450프레임 이하) 송골매 드론 연동
- 농업용 드론 비 가시 송출 H/W 구성 및 시스템 연동
군집드론 송골매 드론
- 사료용옥수수 직파 재배 후 현장 실증
중형 농업 드론(방제)
- 실험실 수준 방제용 드론 을 현장 운영용으로 개조 및 실증 ( 드론 개조 )
< 사료용옥수수 농경지 350ha 준비사항 >
15

16.

3. 기술개발 결과의 기술적 활용
3-1. R&D의 기술적 파급효과
1) 드론운영플랫폼 고도화 R&D 기술적 파급효과
사료용옥수수 생산량 30% 증대
개도국 정밀농업+드론 조종자 교육
새들의 공경에 대한 방어용 드론
드론 조종자 디지털 신원증명
비가시 다수드론 모니터링 관제
※ 기술파급효과는 특정 산업에서 개발된 기술이 다른 산업의 기술개발로 이전되어 신제품의 개발이나 생산활동의 효율 향상 등의 형태로
타산업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효과
16

17.

2023년 사업추진계획
B. 사업성

18.

1. 사업성
1-1. 정부 정책 방향 및 사업 목표
- 글로벌 사업화 추진 경과
키르산림청(SPC)
MOU ('21.12)
항공안전기술원
PM ('22.04)
농진청 KOPIA
MOU ('22.07)
드론 교육원
개소('22.08)
드론 세미나
개최('22.09)
농진청 KOPIA
LOI ('23.02)
18

19.

1. 사업성
1-2. 사업화 계획
1 ) 구체적인 사업화 목표와 전략
중앙아시아 드론 시장 조사
(2022년)
1
중앙아시아 드론 시범 사업
(2023년)
K-스마트팜센터
(정밀농업+드론) 개소
O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플랫품 구축
O 키르기즈스탄 시험포
1ha 공간 및 건물 교육센터
운영
O 비가시 원격 관제실 구축
및 정밀농업 생태 모니터링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14개국 진출
K-스마트팜 드론 ODA (2024년)
사료용옥수수 작물
생산량 증대 30%증대 연구 실험
O 수원국 알라부카 350ha 농경지 임대
O 사료용옥수수 작물을 대상으로
농업드론 실증 진행
O 사료용옥수수 기존 평균생산량
12ton/ha에서 농업드론활용시 18ton/ha
증대
K-스마트팜 ODA 추진
( CTS / IBS ) – '23.08월
O 키르기즈스탄 농업부,
산림청, 비상사태부 협력
O 농진청 KOPIA
키르기즈스탄 – 사료용
옥수수
O 농진청 KOPIA
우즈베키스탄 – 벼 작물
농업드론 연계
19

20.

1. 사업성
1-2. 사업화 계획
2) 실현 가능성 및 기대효과 (1/2)
중앙아시아 드론 시장 조사
(2022년)
K-스마트팜센터
(정밀농업+드론) 개소
O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플랫품 구축
O 키르기즈스탄 시험포
1ha 공간 및 건물
교육센터 운영
O 비가시 원격 관제실 구축
및 정밀농업 생태
모니터링
중앙아시아 드론 시범 사업
(2023년)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14개국 진출
K-스마트팜 드론 ODA (2024년)
실현 가능성
(그간의 준비사항)
O 농진청 대외협력국 ‘24년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보급 확대
O 키르기즈스탄 국립대학교 1ha 건물
사용 허가
O 국내 농업용 드론기업 동반 진출
기대효과
O (고용창출) 70명 이상
( 5명× 14개국 )
O 국내스마트팜
공급기업이 해외 진출 및
국가 경쟁력 확보
O 다양한 산업분야의
디지털화, 스마트화로
비용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 경제성 확보
20

21.

1. 사업성
1-2. 사업화 계획
2) 실현 가능성 및 기대효과 (2/2)
중앙아시아 드론 시장 조사
(2022년)
중앙아시아 드론 시범 사업
(2023년)
정부정책 : 디지털 농업 확산과 농업 생산성 증진
사료용옥수수 작물
생산량 증대 연구 실험
O 수원국 알라부카 350ha
농경지 임대
O 사료용옥수수 작물을
대상으로 농업드론 실증
진행
O 사료용옥수수 기존
평균생산량 12ton/ha에서
농업드론활용시 18ton/ha
증대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14개국 진출
K-스마트팜 드론 ODA (2024년)
면적
규모(ha)
영농비(국가)
예상 매출
이익
영농관리
(15%)
순이익
1
1,906,553
6,851,250
4,944,697
1,027,688
3,917,009
10
19,065,531
68,512,500
49,446,969
10,276,875
39,170,094
100
190,655,309
685,125,000
494,469,691
102,768,750
391,700,941
300
571,965,926
2,055,375,000
1,483,409,074
308,306,250
1,175,102,824
500
953,276,543
3,425,625,000
2,472,348,457
513,843,750
1,958,504,707
1,000
1,906,553,086
6,851,250,000
4,944,696,914 1,027,687,500 3,917,009,414
21

22.

1. 사업성
1-3. 기술개발 결과의 사업적 활용
1) R&D 경제적 파급 효과
K-스마트팜
센터
22

23.

1. 사업성
1-4. 구매 단가표
1) 14국 K-스마트팜센터 드론 운영 플랫폼 구축 ( 1차 – 중앙아시아 2개국 : 8억 )
예상 매출액(1차 초기 세팅) : 56 억 (산출근거 = 14개소 * 4억 ) * 드론 교관 인건비 별도
(단위, 천원)
구분
1차 납품 수량
단가
K-스마트팜센터
소형드론
10
2,500
1
25,000
30.0%
7,500
교육용 농업드론
5
15,000
1
75,000
30.0%
22,500
현장용 드론
5
25,000
1
125,000
30.0%
37,500
촬영용 드론
5
3,500
1
17,500
30.0%
5,250
배터리(소형)
10
1,200
1
12,000
30.0%
3,600
배터리(농업용)
15
250
1
3,750
30.0%
1,125
충전기 및 기타
2
10,000
1
20,000
30.0%
6,000
인프라 시설(PC, 노트북)
5
10,000
1
50,000
30.0%
15,000
드론운영플랫폼
1
100,000
1
100,000
30.0%
30,000

58
428,250
30.0%
128,475
총 합계
가격
마진율
이익금
23

24.

2023년 사업추진계획
C. 선행연구의 우수성과 적정성

25.

1. 선행연구개발 이력
1-1. 기관 자체 R&D 및 국가지원 R&D
1) 창업진흥원 정부지원 사업을 기반으로 『군집드론관제플랫폼』 시제품 제작
2) (국내실증) 강원도 우수 드론 기업 실증을 통한 제품 고도화 추진
3) (해외실증) 국토부 항공안전기술을 드론 해외시장 개척 PM 수행
년도
구분
주관사
과제명
2020
예비창업
한국임업진흥원
D.N.A 군집드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불감시용 오픈 플랫폼 교육 사업 (최우수)
2021
비대면창업
특허정보원
DID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D.N.A 군집드론플랫폼 ( 우수 )
정밀농업분야 군집드론 관제플랫폼 고도화 ( 진행중 )
중기부
2022
초기창업
강원대학교
2022
R&D기획
기술정보진흥원
정밀농업분야 군집드론플랫폼
2022
국내실증
강원도
강원도경제진흥원
메타버스기술 활용 군집드론관제플랫폼 실증
2022
해외실증
국토부
항공안전기술원
해외 시장 개척형사업, 정밀농업분야 드론(PM사) , 농진청 KOPIA 구매동의서
2022
기업애로
강원도
강원ㆍ원주 산학
직파재배 새 쫓는 송골매드론 시제품 제작
2022
R&D기획
중기부
중기원
정밀농업분야 군집드론플랫폼
25

26.

2. 서비스 핵심 기능 특징
2-1. 선행 연구 개발된 주요 군집드론 관제플랫폼 소개
26

27.

2023년 사업추진계획
D. 기술개발 보유 역량 수준

28.

1. 연구개발역량
1-1. 기업의 역량
2)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원의 역량 및 수행 역할 등
성명
소속·직위
학력·전공
과제 수행 시 역할
민병안
삼성드론ㆍ대표이사
김혁상
삼성드론ㆍ해외총괄
박영복
삼성드론ㆍ이사
손창주
삼성드론ㆍ부장
NURBUVI
BLIANㆍ주임
-
김용환
디지털공간맵ㆍ대표
-
신규 채용
주임
대졸 이상
- SW 개발 , 어플 성능 개선
신규 채용
주임
대졸 이상
- SW 개발 , 어플 성능 개선
서울시립대학교
- K-스마트팜 드론 연계사업 총괄
환경원예학과
- 개발 총괄 PM ( SW 개발 경력 20년, 드론 SW 7년 )
인하대학교
-
키르기스스탄 현지 사업화
건축학과
-
코피아 자문위원
-
-
드론 HW 개발 , 산업용드론 기체 개조 및 성능 검증
-
연구개발 PL , K-스마트팜센터 드론운영 총괄
-
통역 및 번역 ( 5개국어 )
-
키르기스스탄 드론교육원 운영 행정 지원
목원대학교
산업언론대학원
- 드론 교육 및 정비 총괄, 현장 드론 실증 총괄
28

29.

1. 연구개발역량
1-2. 특허, 논문 등 기술적 기반
1) 특허 보유현황 ( 특허 2건 )
순번
지식재산권 종류
1
특허(등록)
2
특허(등록)
3
지식재산권명
등록번호
권리권자
분산 식별자를 활용한 군집 드론플랫폼 서비스 제공 및 장치
10-2021-016462
주식회사 삼성드론
분산 식별자를 활용한 비동기 다수 드론 제어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10-2021-0120630
주식회사 삼성드론
상표출원(09류)
드론 조종용 소프트웨어 외
40-2021-0214833
주식회사 삼성드론
4
상표출원(12류)
드론 외
40-2021-0214839
주식회사 삼성드론
5
상표출원(42류)
드론 관련 컴퓨터프로그래밍업 외
40-2021-0214847
주식회사 삼성드론
29

30.

K-스마트팜센터 농업 드론 운영플랫폼 구축
㈜삼성드론 민병안대표
2023.04
English     Русский Rules